본문 바로가기
A카테고리

골프 퍼터 잘치는 방법

by 행복채집꾼 2022. 10. 26.

퍼터는 거리감이 우선이라는 사람도 있고, 방향이 우선이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정답은 없는 것 같지만 저의 경우는 거리감을 우선으로 연습했습니다. 다른 클럽들도 마찬가지로 저의 최대 거리를 알고 방향성을 잡으려고 노력했고 지금도 연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방향성이 좋지는 않은 것 같기도 합니다.

 

1. 그린 읽기

어느 골프장에서나 그린에 라이가 있기에 누구나 어렵습니다. 이러한 라이를 읽는 방법은 계속해서 그린 위에서 라이를 읽으려고 연습하는 것이 유일하다고 생각합니다. 필드에 가면 캐디에게 공을 맡기며 라이를 읽어 주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캐디는 라이를 봐주는 사람이 아니라 내가 골프를 치는데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주는 사람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초보자들은 당연히 캐디에게 라이를 맡기며 왜 이렇게 놓았을지를 고민하면서 치는 연습을 해야 하고 익숙해지면 혼자 라이를 보고 퍼트 해야 할 것입니다.

 

그린을 체크할 때는 최대한 몸을 낮게 숙이고 브레이크 포인트를 파악하고 거리감을 위하여 걸어보면서 경사도 확인하면 좋습니다. 그래도 모르겠으면 치트키로 캐디님께 확인하고 퍼팅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결론적으로 그린을 읽기 위해서는 골프장을 자주가서 스스로 감을 익혀야 하며 천연 잔디가 있는 연습장에서 유료지만 돈을 지불해서라도 반복적인 연습 해야 합니다.

 

2. 머리고정

아마추어 분들이 많이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바로 상체를 움직여 퍼팅을 한 공이 컵을 향해 잘 가는지 빨리 보고 싶어 한다는 것입니다. 라이를 읽고 방향을 설정한 뒤 스트로크에만 집중을 하면 됩니다. 상체를 가만히 유지하는 것을 말하지만 이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저 또한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모두 생각한 것처럼 머리를 고정하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고정했을 때 정확도가 높았다는 것입니다.

 

연습방법으로는 공을 치기 전에 공 뒤, 즉 퍼터 바로 밑에 동전이나 마커를 놓고 일반적인 퍼팅을 하고 공이 떠난 후에도 동전이나 마커를 보는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3. 롱 퍼팅

롱 퍼팅을 너무 어렵다고 생각하는 아마추어 골퍼분들이 많습니다. 어려운 것은 맞으나 이것은 쉬운 것이 아니기에 거리와 방향을 맞추겠다는 생각으로 퍼팅을 하길 권유드립니다.

또 퍼팅 연습을 할 때 짧은 거리부터 긴 거리까지 단계적으로 연습을 하며 롱 퍼팅의 연습량도 충분히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괜찮은 연습방법 중 하나로 퍼팅 그린에서 연습시간을 하실 때, 6개 티를 홀 주위에 퍼터 길이만큼 컴퍼스처럼 원을 만듭니다. 그리고 먼 거리에서 여러 번 그 안에 넣는 것을 목표로 반복 연습을 합니다.

 

4. 마인드

긴장을 많이 하다 보면 상체 근육이 굳어져 짧은 거리의 숏퍼팅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친구들이 방해를 하던가 밥을 사기로 했다면 긴장을 할 수밖에 없고 실패 확률도 높아집니다.

 

또 롱 퍼터가 거리가 계속해서 안 맞았다 거나 또는 짧은 퍼터를 몇 개 놓쳤다 던가, 취약한 라이가 있다 던가 하면 본인의 스트로크가 안될 것입니다.

 

이럴 때는 반드시 한 번에 넣어야 한다기보다는 홀에 붙여놓겠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스트로크를 해주면 좋습니다.

 

그 외에도 비가 와서 그린이 잘 구르지 않은다면 방향보다는 거리를 맞추는데 집중해야하고 기울기도 평소보다 조금 덜 봐야 합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내리막 퍼트보다는 오르막이 더 좋기에 어프로치 상황에서 그린의 높낮이 위치도 고려하면서 샷을 해야 하겠습니다. 내리막에 잘 못 걸리면 러프까지 가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니까요.

 

퍼팅은 돈이라고 합니다. 모든 샷이 중요하지만 퍼팅은 더 긴장이 되고 충분한 연습이 없다면 운으로 할 수 없다면 쉽지 않는 클럽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도 연습장을 가면 20분 정도는 항상 퍼팅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거리감은 자신 있지만 방향을 좋지 않더라고요

 

<오늘의 골프 에티켓>

라운딩을 나가면 실력이 좋은 사람,초보인 사람 등 여러 사람이 있습니다. 잘 치는 사람은 즐기며 치지만 초보들은 잘 안 맞기에 스트레스입니다. 그런데 동반자에게 즉석에서 레슨을 해주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좋은 취지이지만 과도한 것은 상대를 피곤하게 할 수 있으니 서로가 즐길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어떨까 합니다.

댓글